국가생명연구
자원정보센터는
국내연구기관 | 소개 |
---|---|
|
이화여자대학교 시스템생물학 연구센터 생명현상을 구성요소간의 복합적인 상호작용의 결과로 보고 생명현상을 총체적인 관점으로 연구하는 시스템생물학 연구센터이다. 시스템생명정보를 핵심연구분야로 선정하여 관련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, 현재 암 진단 및 원인 유전자를 찾는 연구를 수행중이다. |
|
생명의약네트워크연구정보센터 생명과학과 의약학 분야의 복합적인 연구 정보를 수요자에 맞추어 가공하여 제공함으로써 신약개발 연구의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게 도움을 주는 것을 목표로 한다. 현재 pharmdb라고 하는 고급 약물 예측 시스템을 구축하여 제공하고 있으며 이 dbase에서는 생명과학, 각종 치료제 및 인간의 질병들간의 연관성을 그래픽 혹은 텍스트의 형태로 제공하며 이 database를 이용하여 약물의 신규 작용점, 약물 리포지셔닝, 약물 부작용, 신규 약물조합 등을 예측할 수 있다. |
|
포항공대 시스템생물학 연구실 시스템 생물학 연구실에서는 생물체의 유전자 발현 수준을 한번에 조사할 수 있는 마이크로어레이 (microarray), 단백질 발현을 조사하는 질량분석기 (mass spectrometry) 등 에서 얻어진 대량의 고효율 데이터를 생산하고, 이 데이터로부터 특정 질병이나 환경에서 어떠한 네트워크 변화가 발생하는지를 연구하고 또 이를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방법론을 연구하고 있다. |
|
서울대 의과대학 유전체의학연구소 1980년대부터 인간유전체프로젝트와 함께 유전자의 생체기능 규명을 위한 연구를 주도해온 유전자이식연구소가 2007년 인간유전체의학연구소와 통합되어 유전체의학연구소가 설립되었다. 한국 최초의 한국인 남녀의 전장유전체분석을 완수하고 아시아인을 타킷으로 구조유전체학연구를 수행중에 있다. |
|
한국과학기술원 대사공학연구실 wet-base의 대사공학과 dry-base의 대사공학을 통해, 신규 대사산물의 생산, 기존 대사산물의 생산량 증대 및 균주 특성의 개량과 관련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. 시스템 생명공학 연구를 통해, genome, transcriptome, proteome, metabolome, fluxome 및 dynmaic modeling 등, 최신 경향의 연구를 생물체 개체 단위에 대해 수행하고 있다.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유용정보를 모델링 할 수 있는 가상세포 (in silico cell)를 만드는 것을 최종목표로 하고 있다. |
|
카이스트 생체분자공학연구실 단백질의 구조와 scaffold engineering을 바탕으로 새로운 단백질의 설계 및 창출에 관한 연구와 생체분자 사이의 상호작용을 규명하기 위한 바이오 칩 및 나노바이오센서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. |
|
가천의과대학교 이길여 암당뇨 연구원 암의 진단, 치료, 예방에 있어 혁신적이 방법을 개발할 가능성이 있는 임상과 기초연구를 통하여 암의 기초 생물학과 예방분야에거 국내 최고의 연구기관으로 발전하고자 하며, 암의 면역학적 치료, 진단, 암 발생 기전, 암 예방, 소아암 등 5개 분야를 집중적으로 육성하고 있다. 한국 최초의 한국인 전장유전체서열을 해독한바 있다. |
|
연세프로테옴연구원 1999년 설립되었으며, 프로테옴분야 기술개발과 확산에 주력하고 있다. 최근 세계 10대 단백질연구소로 선정된바 있으며, 세계인간프로테옴기구 (HUPO)와 공동으로 인간단백체 지도 사업의 기획과 각종 기술표준화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. |